'배터리소송' SK편 나선 美기업·주정부···왜

미주 / 김영상 기자 / 2021-02-14 05:32:34
  • 카카오톡 보내기

▲ 사진= 게티이미지.

 

[아시아뉴스 = 김영상 기자] 국내외에서 '세기의 소송'으로 큰 관심을 일으켰던 LG에너지솔루션(옛 LG화학 배터리사업부문)과 SK이노베이션의 미국내 소송이 LG측의 승리로 일단락 된 가운데 일부 자동차 기업과 미국내 주 정부 등이 SK 편들기에 나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독일 자동차 기업 폭스바겐은 미국내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한 공식 성명에서 "폭스바겐은 이번 (LG와 SK의 미국내 배터리 관련) 소송 분쟁의 의도하지 않은 피해자"라며 "SK 배터리 공급에 대한 유예 기간을 연장해 중것을 요청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11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LG에너지솔루션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낸 영업비밀 침해 등의 사건에 대해 LG측 주장을 받아들여 SK의 배터리 셀·모듈·팩 및 관련 부품·소재에 대해 미국내 '수입금지 10년'을 골자로 '최종 심결(determination)' 결정을 내린 바 있다.

 

당시 ITC 측은 판결문을 통해 "관련 업계와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SK측이 이미 배터리를 공급을 수행중인 포드와 폭스바겐 등 자동차 제조사의 직접 납품에 한해서는 각각 4년과 2년의 유예기간을 둘 수 있다"고 직시했다.

 

이에 대해 폭스바겐은 이날 성명를 통해 “자사에 적용한 SK 배터리 수입에 대한 유예 기간 2년은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턱 없이 부족한 시간"이라며 "적절한 공급 전환을 위해 최소 4년 이상의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미국 자동차 업계도 입장은 비슷하다. ITC의 판결 이후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는 현지 매체와 가진 인터뷰에서 “양 측(LG와 SK)의 합의가 궁극적으로 미국 완성차와 전기차 기업과 노동자들 등에게 최선의 이익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SK 편들기에는 주 정부도 나서는 모양세다. 같은 날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주 주지사는 양 사에 대한 ITC의 분쟁 판결에 대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 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거부권은 SK측이 이번 소송 판결에 거는 '마지막 카드'다.

 

CNN 등 복수 이상의 미국 매체 인터뷰에서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는 "이번 판정 결과로 조지아주에서 계획중인 약 26억달러(한화 약 2조8700억원) 규모의 SK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가 타격을 받을 위기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김영상 기자 kysang@asianews.news

[ⓒ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