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동산 대책 무색... 고가 아파트 3억원 더 올라
- 사회 / 최정호 기자 / 2019-09-25 10:37:10
올해 아파트 가운데 최고가로 거래된 한남동 '한남더힐'/연합
지난 해 9월부터 정부가 시작한 부동산 과열 대책에도 불구하고 고가 아파트의 시세는 1년 전에 비해 비슷한 수준이거나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최고가로 거래된 아파트는 무려 84억원인 용산구 한남동의 ‘한남 더힐’로 이는 지난해 거래된 동 전용면적 대비 3억원이 더 오른 수준이다.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2016∼2019년(8월23일까지) 연도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계약일 기준) 상위 20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실거래 최고가는 1월 10일 매매계약이 체결된 한남더힐(전용면적 244.749㎡)의 84억원이었다. 상위 11위까지 모두 한남더힐로 84억~63억원 수준으로 거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195.388㎡)와 성성수동1가 갤러리아 포레(241.93㎡)가 각 62억원(12위), 57억원(13위)에 매매됐다. 한남더힐은 2016년(244.749㎡·82억원), 2017년(244.783㎡·78억원), 2018년(244.783㎡·81억원)에 이어 4년 연속 가장 비싸게 팔린 아파트로 기록됐다.
1위 아파트의 면적에 미미한 차이(2018년 244.783㎡·2019년 244.749㎡)가 있지만, 집값을 잡기 위한 각종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거래 최고가 한남더힐 아파트의 가격은 1년 사이 3억원 정도 더 올랐다. 거래 시점도 2018년 11월, 2019년 1월로 차이가 3개월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다만 2016∼2019년 연도별 실거래가 20위의 수준은 ▲ 2016년 47억원(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2·244.04㎡) ▲ 2017년 59억5천만원(한남더힐·240.305㎡) ▲ 2018년 61억5천만원(한남더힐 ·240.23㎡) ▲ 2019년 49억4천만원(서울 강남구 도곡동 상지리츠빌 카일룸·210.50㎡)으로, 2017∼2018년까지 오름세를 탔지만 올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