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 금통위원 "韓, 선진국과 통화정책 다를 수밖에 없어"
- 경제·산업 / 우도헌 기자 / 2019-11-13 17:07:41
"원화는 아직 신흥국 통화 특징 보여"
선진국과 금리격차 유지 필요 시사
임 위원은 "우리나라 대외건전성이 2008년과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양호해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지난 3~4년 새 양호한 정도가 조금씩 줄고 있고, 외환위기 측면에서 문제가 전혀 없는 수준은 아직 아니다"고 판단했다.
이어 "외환 건전성 조치는 어려운 시기에 대한 일종의 보험"이라며 "과거에 사고를 많이 낸 사람은 좋은 차를 굴려도 보험료를 많이 내는데 우리나라는 지난 20년 새 외환·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트랙 레코드가 좋지 않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임 위원은 "향후 글로벌 경기 하락기의 큰 사이클을 잘 견디고 지나가면 원화의 위상도 달라질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선진국과 금리격차 유지 필요 시사
![]() |
▲발언하는 임지원 금융통화위원 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이 13일 오후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13일 원화가 아직 신흥국 통화의 성격을 가지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은 주요 선진국과 다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임 위원은 이날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비슷한 경기 흐름에 직면한다고 하더라도 통화정책의 작동과정은 개별경제의 금융·경제 구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임 위원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신흥국 금리와 주요 선진국 금리는 어느 정도 격차가 유지되도록 요구되고 있다"며 "이는 당장 자본 유출을 우려해서라기보다는 미래 어느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 불안정 리스크를 염두에 둔 일종의 헤지(위험회피) 또는 사전적 건전성 확보 조치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위원은 "이런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책이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것"이라며 "문제는 환율을 안정화하는 데 필요한 금리 인상 폭이 신흥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점에 있다"고 지적했다.
![]() |
▲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이 13일 오후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임 위원은 "우리나라 대외건전성이 2008년과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양호해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지난 3~4년 새 양호한 정도가 조금씩 줄고 있고, 외환위기 측면에서 문제가 전혀 없는 수준은 아직 아니다"고 판단했다.
이어 "외환 건전성 조치는 어려운 시기에 대한 일종의 보험"이라며 "과거에 사고를 많이 낸 사람은 좋은 차를 굴려도 보험료를 많이 내는데 우리나라는 지난 20년 새 외환·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트랙 레코드가 좋지 않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임 위원은 "향후 글로벌 경기 하락기의 큰 사이클을 잘 견디고 지나가면 원화의 위상도 달라질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