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포커스] 우체국 집배원 활용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의 오늘과 내일
- 노동/복지 / 우도헌 기자 / 2025-08-20 12:30:26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집배원 또는 우편 배달 인력을 복지사각지대(위기가구) 발굴의 병력으로 삼는 사업은 위기에 처했지만 공식 복지망에 닿지 못한 가구,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은둔 가능성이 있는 단독·1인 가구 등에게 먼저 손을 내미는 데 목적이 있다. 집배원은 매일 현장을 누비며 각 가정의 위치, 생활환경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공무원·복지담당자 중심의 발굴체계에 지역 일선 인력·사회 인프라를 더하는 방식으로 발굴의 실효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집배원은 ‘명예 사회복지공무원’ 역할을 수행하며, 발굴된 위기가구를 복지담당 부서에 신고하거나 상담으로 연계한다.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등기우편이나 공익우편을 통해 복지정보를 가정에 직접 전달하며 생활·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추가 상담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지역 밀착 인력을 활용하면 발굴 누락을 줄이고, 실제 생활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개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배원과 같은 생활밀착 직종이 사회복지망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 안전망을 강화하고, 위기가구에 대한 사전 개입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전국 여러 지자체에서는 우체국 집배원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경북 구미시는 지난해 ‘복지등기 우편사업’을 통해 1,200가구에 복지 안내 우편을 발송했고, 이 중 934가구가 기초생활수급 신청 등 공적·민간 복지서비스로 연계되는 성과를 냈다. 집배원들은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되어 직접 배달하면서 가구의 거주 실태를 확인했다.
경기 광명시 역시 집배원과 요구르트 배달원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나섰으며, 2024년에는 인적 안전망과 빅데이터 기반 징후 탐지를 결합해 발굴 건수를 전년 대비 크게 늘렸다. 오산시는 오산우체국과 협력해 집배원 50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 단전·단수·체납 등 위기징후가 있는 약 500가구를 대상으로 복지서비스 연계를 진행 중이다.
전북 남원시도 남원우체국과 협약을 맺고 ‘복지등기 공익우편서비스’를 운영하며, 집배원이 우편 전달 과정에서 위기 감지, 기초자료 확보, 복지 상담까지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전국 각지에서 우체국 집배원을 중심으로 한 생활밀착형 복지 발굴망이 실제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 사례에서 확인되듯 우체국 집배원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망은 실제 지원 연계로 이어진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과제도 존재한다. 집배원이 가구의 거주환경을 관찰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와 주거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 보호장치나 동의 절차가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집배원 본연의 우편배달 업무 외에 복지발굴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력 부담과 업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굴된 모든 건이 실제 지원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연계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눈에 보이는 단전·체납 등의 징후에만 의존하는 한계도 있어 심리적·정서적 위기 가구 발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앞으로 이 사업이 더 효과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인적 안전망과 빅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예측시스템을 결합해 선제적 발굴을 강화해야 한다. 집배원의 역할을 생활 상태 관찰자이자 안부 확인자로 명확히 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윤리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발굴 후 상담·지원·모니터링을 포함한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동단위 복지담당자 및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협업해 고독사나 은둔형 가구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사업 성과 데이터를 공개하고 매뉴얼화해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체국 집배원 기반 발굴망은 보다 촘촘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복지 안전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trzzz@naver.com
서울 용산구와 우정사업본부(우체국)가 협력해 시행하는 집배원 활용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은 단전·단수, 전기·가스·통신비 체납, 건강보험료 미납 등 위기가구 징후를 바탕으로 명단을 작성하고, 집배원이 우편물 전달 과정에서 생활실태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
| ▲사진=KBS 뉴스 |
집배원은 ‘명예 사회복지공무원’ 역할을 수행하며, 발굴된 위기가구를 복지담당 부서에 신고하거나 상담으로 연계한다.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등기우편이나 공익우편을 통해 복지정보를 가정에 직접 전달하며 생활·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추가 상담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지역 밀착 인력을 활용하면 발굴 누락을 줄이고, 실제 생활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개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집배원과 같은 생활밀착 직종이 사회복지망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 안전망을 강화하고, 위기가구에 대한 사전 개입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전국 여러 지자체에서는 우체국 집배원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경북 구미시는 지난해 ‘복지등기 우편사업’을 통해 1,200가구에 복지 안내 우편을 발송했고, 이 중 934가구가 기초생활수급 신청 등 공적·민간 복지서비스로 연계되는 성과를 냈다. 집배원들은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되어 직접 배달하면서 가구의 거주 실태를 확인했다.
경기 광명시 역시 집배원과 요구르트 배달원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 복지사각지대 발굴에 나섰으며, 2024년에는 인적 안전망과 빅데이터 기반 징후 탐지를 결합해 발굴 건수를 전년 대비 크게 늘렸다. 오산시는 오산우체국과 협력해 집배원 50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 단전·단수·체납 등 위기징후가 있는 약 500가구를 대상으로 복지서비스 연계를 진행 중이다.
전북 남원시도 남원우체국과 협약을 맺고 ‘복지등기 공익우편서비스’를 운영하며, 집배원이 우편 전달 과정에서 위기 감지, 기초자료 확보, 복지 상담까지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전국 각지에서 우체국 집배원을 중심으로 한 생활밀착형 복지 발굴망이 실제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 사례에서 확인되듯 우체국 집배원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발굴망은 실제 지원 연계로 이어진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과제도 존재한다. 집배원이 가구의 거주환경을 관찰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와 주거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 보호장치나 동의 절차가 명확히 공개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집배원 본연의 우편배달 업무 외에 복지발굴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력 부담과 업무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굴된 모든 건이 실제 지원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연계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눈에 보이는 단전·체납 등의 징후에만 의존하는 한계도 있어 심리적·정서적 위기 가구 발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앞으로 이 사업이 더 효과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인적 안전망과 빅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예측시스템을 결합해 선제적 발굴을 강화해야 한다. 집배원의 역할을 생활 상태 관찰자이자 안부 확인자로 명확히 하고, 개인정보 보호와 윤리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발굴 후 상담·지원·모니터링을 포함한 사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동단위 복지담당자 및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협업해 고독사나 은둔형 가구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
사업 성과 데이터를 공개하고 매뉴얼화해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체국 집배원 기반 발굴망은 보다 촘촘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 복지 안전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타임스 / 우도헌 기자 trzzz@naver.com
[ⓒ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